디즈니플러스 들어보셨나요? 작년 11월에 북미에서 시작을 하였습니다. (아직은 아시아에 서비스는 안됩니다.T.T) 최근 디즈니가 야심차게 준비한 컨텐츠 시장의 끝판왕입니다. 넷플릭스처럼 한달에 얼마씩 돈을 내면 무한으로 영화, 드라마, 만화 등등의 모든것을 볼수 있는 채널입니다.
여러분들은 디즈니하면 어떤것이 생각나시나요? 알라딘, 겨울왕국등이 생각납니다. 그리고 영화나 만화 초반에 나오는 성에 폭죽 터지는 장면이 생각나죠. 그리고 디즈니 하면 "그거 애들보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큽니다.
그러나 디즈니는 결코 그런회사가 아닙니다. 근 10년간 전 세계 영화시장을 거의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고 여러분들이 친숙한 많은 케릭터, 히어로들이 디즈니 소속입니다. 디즈니회사의 주식을 보면 회사의 상황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아니 대체 디즈니가 뭐가 있는데 이렇게 컸지?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계 시장을 장악한 디즈니 페밀리와 디즈니플러스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디즈니 페밀리
아래 보이시나요? 디즈니에는 저런 회사들이 속해있습니다.
마블 시리즈
원래 디즈니 (알라딘, 겨울왕국등등)의 아동용 영화 뿐만아니라, 엄청난 회사들이 포진되어 있습니다. 그중에 마블이 눈에 띄는군요. 요즘 극장가를 점령한 많은 케릭터들이 마블 소속입니다.
스타워즈 시리즈
디즈니가 스타워즈를 이미 인수를 해서 모두 디즈니 소속입니다.
픽사
주옥과 같은 케릭터들 토이스토리, 니모(밑에 그림에는 없네요), 주먹왕 랄프 모두 픽사 소속입니다.
그리고 20세기 폭스 영화사, 스포츠 채널인 ESPN등 모두 디즈니 소속으로 디즈니가 이미 글로벌 컨텐츠 시장의 공룡으로 등극했습니다.
2. 디즈니 플러스
디즈니 플러스는 이 모든 케릭터를 한달 얼마 돈을 내고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입니다. 예전에 디즈니는 컨텐츠 제작자로서 컨텐츠를 다양한 업체 (넷플릭스등)에 제공하고 그 저작권료, 수수료등을 받아먹는 사업을 하였지만, (그수익도 어마어마하죠) 작년에 모두 계약해지 하고 독자적인 컨텐츠를 공급하는 플랫폼을 만들었죠. 한마디로, 이젠 다해먹겠다 라는 속셈입니다.
이 파급력이 어마어마 한게, 글로벌 컨텐츠 시장의 대다수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넷플릭스에서 디즈니가 빠져나가버리면 팥없는 단팥빵이 되버리는거지요. 오로지 저 위의 케릭터등을 디즈니 플러스에서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아직은 일부 디즈니의 컨텐츠는 넷플릭스에 감상은 가능합니다.)
3. 가격
처음에 말씀드린것 처럼 아직은 한국에서 이용할 수 없습니다. 참고로 미국에서 접속해보면 가격은 2가지가 있는데, 7달러, 13달어의 가겨이지요. 넷플릭스는 한달무료인 반면에 여기는 일주일은 무료이네요. 7달러에 한달동안 많은 케릭터를 볼수 있다는것이 너무 매력적입니다. 얼른 한국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했으면 좋겠네요. 참고로 가격은 넷플릭스보다 저렴합니다.
4. 구독자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아직은 넷플릭스에 비해 구독자수가 많이 부족합니다. 그러나, 초기단계인 점, 북미에서 제한적인 점을 보면 엄청난 가능성이 보입니다. 시작 하루만에 천만의 구독자를 확보했다고 하는데, 대한민국 국민의 1/4이 가입한셈이죠. 천만이라는 숫자가 어느정도 인가하면, 저 아래 그래프에 CBS와 디즈니와 거의 비슷한 수준인데, CBS가 저 숫자를 모으는데 5~6년의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걸 하루만에 따라 잡은거죠.
5. 한국에서는 언제쯤?
한국에서는 대략 2020년~2021년 사이에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시기는 조율중이라고 하구요. 현재는 북미권에만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공식 발표에 의하면, 올 3월에 서유럽 (독일, 프랑스, 영국등)에 시작을 하고 2020년 전반기에 서유럽 전역에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작업은계속되어야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는 천재지변인가? (0) | 2020.03.11 |
---|---|
디즈니플러스 때문에 넷플릭스 사용자 이탈중 (0) | 2020.01.14 |
솔레이마니 드론공격 - 공포의 드론 MQ9-리퍼 (Reaper) (0) | 2020.01.11 |
이란 미사일 공격 그리고 트럼프 기자회견 - 이란 쫄았나? (0) | 2020.01.09 |
호주 산불 - 가짜 산불 사진이 돌아다니네요 (0) | 2020.01.08 |
댓글